뉴스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기획] 구미시 출생•사망자 수 보합세, 손 놓으면 40만 시대 무너진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지만, 인구가 늘어야 기업도 몰려온다
2022년 09월 05일 [K문화타임즈]

▲김천시 아포읍 1천 세대 전세 아파트 주요 고객은 구미
▲아포 송천지구 분양 임박, 김천 아포읍은 구미 인구의 블랙홀
▲그 흔한 주소갖기 운동조차 손 놓은 구미시
▲대학 전입금 지원 조례조차 부결시킨 구미시의회
▲중•고등학생 신입생 교복 지원금도 타 시군 30만 원, 구미는 10만 원
▲김천시, 포항시, 상주시 대학생 현장 전입반 적극 운영
▲구미시 미전입 대학생 5천여 명, 근로자도 수만 명 대 예상, 대학▪기업과도 주소갖기 운동 펼쳐야
▲주소갖기 전입운동은 애향 정신도 고취해


 

↑↑ 구미국가산업단지 제1단지와 구미시내 전경 [사진 제공= 구미시]



[K문화타임즈 = 김경홍 기자] 매월 초 구미시가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최신 인구 증감 추이를 보면 간담이 내려앉을 정도다.
마이너스 236명으로 시작한 2022년 1월 인구의 감소세는 이후에도 꺾이지 않고 있다. 2월 마이너스 868명에 이어 3월 들어 마이너스 1,064명을 마크한 인구는 41만 421명으로 41만 시대 사수에 적신호를 보냈다.

우려했던 데로 4월에는 마이너스 477명을 마크하면서 결국 구미시 인구는 40만 9,679명으로 41만 시대를 내주었다. 이어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동안 줄어든 인구는 1천 376명이었다. 군부 지역의 소규모면 하나가 사라지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감소 추세라면 2022년 8월 말 현재 40만 8,619명인 구미시 인구가 불과 1년 4개월 후인 2023년 말에 이르러 40만 시대를 내주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특히 이전에는 전입 인구를 압도하던 전출 인구의 빈틈을 사망자 수에 비해 배 이상 많은 출생아 수가 보충해 주었다. 하지만 2022년 8월 말 현재 출생아 수는 173명으로 사망자 수 172명과 별반 차이가 없다. 평균 연령 역시 남자가 39.31세, 여자는 41.3세로 늘어나고 있는 형국이다. 머지않아 청년의 도시 구미가 중년의 도시 구미로 바뀔 수도 있는 부정적인 흐름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 감소를 전국적인 현상 혹은 비수도권 지자체가 공히 겪고 있는 일반적인 추세로 몰아가선 안 된다. 진화하는 역사는 이러한 일반적인 추세를 극복한 선구자들에 의해 운영되어 왔기 때문이다.

구미시 선주원남동에 소재한 구미대학의 학생 수는 5천 명을 상회한다. 이 중 많은 학생이 봉곡동 원룸지대에서 자숙하고 있다. 아침 시간에는 대로변에 등교를 서두르는 학생들이 줄지어 선다. 마치 추석 명절을 맞아 귀성하기 위해 길게 늘어선 서울역의 풍경을 보는 듯하다.
k문화타임즈는 2학기 개강이 시작된 이달 초, 줄지어 선 20명의 학생에게 전입 여부를 물어보았다. 그러나 이들 중 구미에 전입신고를 한 학생은 2명에 불과했다. 전입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귀찮아서’ 혹은 ‘자주 주소지를 옮겨서’였고,‘도움을 받을 일도 없는데’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지난 29일, 관할 지역에 김천대학교와 경북보건대가 소재한 김천시 대신동 행정복지센터는 자원 봉사자원들과 함께 미전입 대학생과 복학생을 대상으로 전입을 독려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체 제작한‘2022 김천 생활가이드북’을 배부하고, 인구 증가 시책 지원금 지급 등 전입에 따른 혜택을 안내했다. 특히, 전입 지원금 20만 원 지급과 학기당 30만 원 등 최대 연 60만 원을 지원하는 기숙사비 지원금 시책 설명을 통해 전입을 유도하자, 학생들이 반응하기 시작했다.
수년 전 대학생 전입 지원금 관련 조례를 부결시킨 구미시와는 격세지감이 들 정도다.

2010년 들어서면서 구미공단 경기가 침체의 늪에 빠지자, 구미 정치 지도자들은 시민들로부터‘대기업의 품에 안겨 신성장 동력 돌파구를 사전에 마련하지 못한 안이한 대응’ 탓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정부 차원의 수도권 규제 완화가 구미공단 침체의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탓’도 통하지 않았다. 대기업의 탈 구미화를 예견했으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은 수동적 행위를 탓하고 나선 것이다.

인구 감소에 대비한 구미시의 대응은 사실상 ‘뒷짐’ 그 자체였다. 인구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 인접 지자체로의 인구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선제적인 도시계획 마련, 미전입 인구를 대상으로 한 주소갖기 운동 등 세 박자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구미는 기업 유치가 곧 인구 감소를 억제한다는 상식적인 상황에만 골몰해 왔다.

구미시는 십여 년 동안 고아읍과 산동읍 등에 대규모 지구단위 계획을 수립한 반면 타 지자체와의 인접 지역인 인동, 봉곡동, 임오동 지역에는 지구단위 계획 수립이 전무하다시피 했다. 결국 우려했던 데로 구미시 인구는 칠곡 석적읍과 북삼읍, 김천시 아포읍으로 무더기 유출됐다.
최근 들어서는 그 후유증이 적나라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24년까지 1천 세대의 임대 아파트를 건립하고 있는 구미 인접 지역인 김천시 아포읍 임대단지의 입주자는 대부분이 구미시민들이다. 또 아포읍 송천리는 수천 세대의 입주자를 겨냥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분양가와 편리한 접근성이 구미시민들의 관심을 환기할 만하다. 김천시의 인구 유입 방향은 이처럼 다양한 방향에 포인트를 두고 진행되고 있다.

인구 50만 명 시대 사수에 나선 포항시와 인구 15만 명과 10만 명 회복 운동에 나선 김천과 상주시는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 ‘내고장 주고갖기 운동’혹은 ‘김천 愛 주소갖기 운동’행정력을 올인하고 있다. 물론 소기의 목적 달성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과는 달리 시 차원의 주소갖기 운동을 했기 때문에 인구 감소 폭을 둔화시켰다는 주장이 오히려 설득력을 얻는다.

실례로 포항시는 50만 인구 유지를 위해 2021년 1월부터‘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과 함께 전입 지원금 30만 원을 지급하고 있다.
상주시는 주소를 갖고 있지 않은 시민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해 전입을 독려하는가 하면 경북대 등 학교 기숙사생 전입을 위해 신입생 및 기숙사 오리엔테이션을 활용한 전입 혜택 설명회, 기관 및 단체와 기업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전입 협조 서한문 발송 등을 통한 주소갖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결과 올들어서만도 대학생 등 486명이 주소를 옮겼다.

김천은 또 대학생과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입 격려금 지원, 대학과 기업체 방문 전입 협조 캠페인, 혁신도시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소갖기 협조 설명회를 주기적으로 갖고 있다.

◇인구 감소, 너무 낙관적인 대응 구미시
시민들은 구미시가 서둘러 기업 유치와 주소갖기 운동, 타 지자체의 인접 지역에 대한 도시계획 변경 등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최소한 인구 감소 현상을 둔화시켜야 한다는 주문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여론을 등에 업은 의원들 역시 주소갖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 7월 14일 행정안전국 총무과에 대한 의회 기획행정위원회 주요 업무 보고에서 이명희 위원장은 시 인구가 올들어 3천여 명이 줄었다고 지적하면서 인구 증가를 위한 중장기 플랜을 서둘러 수립,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이 위원장은 또 인구 40만 시대의 마지노선이 붕괴할 위급한 상황인데도 가장 기초적인 ‘주소갖기 운동’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시가 주축이 돼 기관 및 단체, 학교와 협업체계를 갖추고 주소갖기 운동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신용하 의원은 또 2019년부터 2022년 6월 말까지 2년 6개월 동안 1만 명이 감소하는 동안 30대 이하가 2만 명 줄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2,3년 이내에 인구 40만 시대가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경홍 기자 siin0122@hanmail.net 기자  114ddd@hanmail.net
“”
- Copyrights ⓒK문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문화타임즈 기사목록  |  기사제공 :